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7

BPDU 구조 BPDU (Bridge Protocol Data Units) 위 규칙에 따라 STP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치가 충분한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BPDU라고 불리는 특별한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브리지ID와 루트경로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 BPDU의 목적지주소는 멀티캐스트 주소인 0180.C200.0000을 사용한다. BPDU의 종류로는 Configuration BPDU, TCN BPDU 두 가지가 있다. CBPDU (Configuration BPDU) 루트브리지를 선출하고 각종 포트를 선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담고 있다. 루트브리지로부터 시작해 다른 스위치로 전달된다.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 망 토.. 2014. 8. 21.
Switch의 Loop방지기술 - STP Spanning-Tree Protocol 스위치 네트워크를 이중화 구성할 경우, 여러가지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장애의 원인은 바로 이중화 구성 때문이다. 그럼 장애를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너무나도 간단한 이야기지만 이중화 구성이 아니면 된다… 그럼.. 이미 구성해 둔 이중화 링크를 한군데 뽑아버리느냐?? 그건 아니다. 물리적으로 포트를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하나의 포트를 일시적으로 막아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논리적으로 하나의 포트를 막아서 루프를 방지하는 기술이 바로 Spanning-Tree Protocol이다. STP의 동작과정 STP를 동작시키면 서로 연결된 여러 개의 스위치들은 그들 중 하나의 반장을 뽑는다. 그 반장을 우리는 Root Bridge라고 부른다. 그리.. 2014. 8. 21.
[Config] RIPv1 RIP version 1 설정하기 1.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하기라우터에 IP설정을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설정모드로 들어가듯, 라우팅도 마찬가지로 다양한 라우팅 프로토콜 중에 어떤 프로토콜을 설정할 것인지 선택해서 설정모드로 진입해야 한다. 이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router' 이다. Router(config)# router rip Router(config-router)# 2. 광고할 네트워크 주소와 활성화할 인터페이스 설정하기인터페이스 설정모드로 진입했다고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듯, 프로토콜을 RIP으로 선택했다고 해서 RIP이 동작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작이 되도록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데, 바로 광고와 활성화이다. 이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network' 이다. .. 2014. 8. 21.
[Config] Dynamic Routing 공통사항 Dynamic Routing의 설정 Dynamic Routing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명령어는 router 와 network 이다 라우팅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명령어 : routerrouter 라는 명령어가 Dynamic Routing을 설정하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이 된다.이 명령어 뒤에 rip, eigrp 등 설정하고자 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이름을 적는다.rip은 뒤에 아무런 옵션이 붙지 않지만 eigrp 뒤에는 AS번호가, ospf 뒤에는 process-id 값이 들어간다는 점도 유의하자. 네트워크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명령어 : network결과적으로는 라우터가 Connected로 알고있는 정보를 모두 광고하는 명령어로 입력하게 되지만, 아래와 같이 network명령어는 두 가지의 뜻을.. 2014. 8. 19.
[Config] Static Routing 설정 Static Routing의 설정 ip route 라는 명령어로 Static Routing을 설정하며 명령어는 전역설정 모드(Global Configuration Mode) 에서 친다.Static Routing은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고정적인 값이기 때문에 경로설정을 잘못입력하면 통신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반드시 설정 후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야 한다. 명령어 구조 ip route { interface | address } Destination IP : 라우팅 테이블에 입력하고자 하는 목적지 네트워크 주소를 의미한다. (예 : 10.0.0.0, 192.168.1.0)Subnet-mask : 앞서 입력한 목적지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를 입력한다. 목적지 네트워크의 범위와 서브넷 마스크가 다를경.. 2014. 8. 19.
ARP (주소결정프로토콜)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를 그대로 풀어서 해석하면 주소결정프로토콜 이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은 사용자가 어떤 값을 생성하여 전달하거나 어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동작을 시킬때 발생된다. 즉, 통신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값들을 사용자가 결정하여 입력을 시켜준다는 뜻이다. 4계층에서 필요한 서비스 구분번호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면서 입력이 되고, 3계층에서 사용하는 IP주소까지는 사용자가 통신하기 위해서 디바이스에 입력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Encapsulation이 가능하다. 하지만 2계층에서 필요한 목적지 주소는 따로 입력이 되지 않아서 주소를 디바이스 스스로 결정해주어야 한다. 이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이다. 정리하면,ARP란 논리적인 IP주소.. 2014.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