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6 서브넷팅 (Subnetting) IPv4의 Subnetting 서브넷팅이 필요한 이유 1.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낭비를 막기 위해서 2.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 강화를 위해서 만약 하나의 부서에서 필요한 IP주소의 개수는 총 6개인데 C class 주소대역대 하나를 할당해준다면... 할당된 IP의 총 개수는 256개로 낭비되는 IP가 많아진다. 따라서 남는 IP를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FLSM (Fixed Length Subnet Mask) 고정된 크기의 Subnet-Mask를 사용하는 방식. 즉, 동일한 크기의 Subnet으로 나누는 방식을 말한다. Subnetting 하는 방법 서브넷을 나누기 전에 각각의 네트워크에서 필요한 호스트의 수 또는 필요한 네트워크 수를 파악하여 .. 2014. 7. 22. Subnet-Mask (서브넷 마스크) Subnet-Mask Subnet-mask는 IP 주소의 Net-id와 Host-id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값이다. Class를 구분하여 IP를 사용할 때에는 첫번째 옥텟의 숫자만 보고 네트워크 부분을 비교하여 구분할 수 있었지만, 서브네팅을 하여 네트워크가 나눠지면 더 이상 Class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네트워크 구분이 어려워진다. 각 주소 별로 네트워크가 어디까지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Subnet-mask 인 것이다. Subnet-mask의 구성 218.128.32.0 이라는 주소만 봤을때 Class 구분을 하면 C class로 3번째 옥텟까지가 네트워크 범위겠지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디까지를 네트워크로 보고 구분해야 되는지 알 수가 없다. Net-id는 1,.. 2014. 7. 21. 3계층 보충-IPv4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우리가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IPv4 주소는 전세계에서 사용하는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고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이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해주고 있고, TCP가 동작되지 않는 상황에서의 오류 제어는 ICM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IP주소, 최상위 도메인 등을 관리하는 관리 단체인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모든 IP주소 관리를 책임지고 있으며, 대륙을 5개 범위로 나눈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에서 IP주소 .. 2014. 7. 21. 3계층(Network) 세부설명 Layer 3. Network 3계층은 논리적 주소를 기반으로 전송경로를 결정해준다. 3계층 Header 의 내용을 수행하고 Network라는 계층의 이름처럼 전체 네트워크에서 나뉘어진 네트워크들을 구분해주고,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찾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층이다. 1. 논리적 주소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목적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각 프로토콜 간에 직접적인 통신은 안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와 연결을 위해선 공통적인 상위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주소 프로토콜로 IP, IPX, Apple-talk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으며, 현재 특정 어플리케이션 통신 외 일반적인 통신에서는 IP만 사용한다. ■ IP 주소의 .. 2014. 7. 20. 2계층(Data-link) 세부설명 Layer 2. Data-Link Data-link계층은 WAN에서 인접한 노드끼리 또는 같은 LAN 상의 노드 끼리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계층이다.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Frame을 전달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라우팅 기술은 더 높은 계층의 기능이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로는 전달할 수 없다. 1계층이 어떤 Media를 사용하고 있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Protocol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것을 2계층에서 구분하여 결정한다. 또한 해당 Protocol에서 사용하는 물리적 주소를 구분하여 목적지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LAN 에서는 주로 Ethernet을 사용하고, Point-to-Point 구간에서는 PPP, HDLC 등을 사용한다. LAN 에서 사용하는 Pro.. 2014. 7. 19. 1계층(Physical) 세부설명 Layer 1. Physical Layer OSI 7계층에서 1계층은 물리계층(Physical Layer) 라고 한다. 1계층의 역할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컴퓨터에서 만든 데이터를 다른 장비로 전달하기 위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야 하고, 이를 Encoding 이라고 한다. 전기적 신호를 받은 상대방 장비에서는 데이터화 해야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를 Decoding 한다. Encoding/Decoding 방식은 수없이 많으며, 이를 합쳐 Codec 이라고 부른다. 1. Cable 전기신호로 변경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이 필요하다. 케이블의 종류로는 Twisted-pair cable, Coaxial cable, Fiber-optic cable 등이 있다. ■ Twi.. 2014. 7. 18.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