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8 [AWS 기초 3] Billing Budget 설정하기 무료버전인 프리티어를 사용한다고 해도 무료사용량을 넘기거나 실수로 프리티어가 아닌 다른 서비스를 실행하는 바람에 예기치않게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빌링 예산을 설정하려고 한다. 청구서 살펴보기청구서(Bill) 메뉴로 가면 현재 비용이 어디서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프리티어(Free Tier) 메뉴로 가면 사용 중인 서비스들의 프리티어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예산 설정하기예산 메뉴로 이동하여 [예산 생성] 버튼을 눌러 예산설정으로 들어간다. 예산 설정에서 제공되는 여러 옵션들을 살펴보자.간단하게는 템플릿을 사용해 구성할 수 있고, 좀 더 세분화된 파라미터를 지정해 설정하고자 하면 사용자 지정으로 선택하면 된다. 다음 이어지는 옵션들은 템플릿 사용 시 작성하는 부.. 2025. 5. 14. [AWS 기초 2] IAM 개요 및 설정하기 IAM 개요어느 리소스에 대해 누가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가를 정의하여 리소스에 대한 접근 및 사용 제어를 하기 위한 서비스를 IAM 이라고 한다.IAM에 접속해보면 어느 리소스에 어떤 작업에 대해 허용(allow)할지 거부(deny)할지 JSON 형식으로 정의해둔 권한정책(permissions)이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으며, 원한다면 업무상 필요한 최소권한의 원칙에 따라 커스텀하게 작성해 생성할 수도 있다. IAM을 통해 각각의 사용자(users) 또는 사용자를 묶은 그룹(groups)에 권한정책을 적용할 수 있으며, 리소스(resources)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권한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역할(roles)을 만들어 권한정책을 적용하고 사용할 수 있다. IAM 권한정책 설정하기 사.. 2025. 4. 11. [Config] iBGP & eBGP 설정하기 Case 1. eBGP (물리인터페이스)eBGP는 직접 연결된 장비와 peer를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서로 연결된 물리 인터페이스로 peer를 구성한다. AS간 라우팅은 아직 하지 않고, AS2는 OSPF로 구성한다. R1과 R2간 Serial 주소를 사용해 eBGP peer를 설정하고, Loopback을 광고한다. 주의! Classful 주소는 mask를 생략하고 그 외의 서브넷은 반드시 지정해주어야 한다.# R1router bgp 1 neighbor 1.1.12.2 remote-as 2 network 1.1.1.0 mask 255.255.255.0 # R2router bgp 2 neighbor 1.1.12.1 remote-as 1 .. 2025. 4. 8. BGP 개요 BGP 개요BGP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각각의 대규모 네트워크 간에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즉, 간단히 설명해서 서로 다른 AS간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1989년 BGP 버전1이 나왔고, 1995년 CIDR 및 서브넷팅 도입을 적용한 버전4가 나왔다. 현재 그냥 BGP라고 하면 버전4를 의미한다. 흔히 알고 있는 OSPF, EIGRP 등의 프로토콜은 Multicast 통신을 하지만 BGP는 Unicast 통신을 하기 때문에 IGP들과는 달리 직접 연결된 장비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장비와 이웃관계를 맺을 수 있다. TCP를 사용하기 때문에 7계층 프로토콜 이라고도 한다. 또한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이 IGP와 다르다. IGP는 각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매트릭방식에.. 2025. 4. 8. [AWS 기초 1] AWS 시작하기 Account 생성하기AWS를 시작하기 위해 가장 먼저 생성해야 하는 것이 Account 인데, AWS Account란 VM, Storage와 같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관리하는 단위이자 보안 경계를 만들어 다른 리소스들과 분리하는 AWS 서비스를 말한다. 웹 브라우저에 signin.aws.amazone.com 주소를 입력해 이동한 후 아래와 같이 [AWS 계정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르고, Account를 생성하는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를 넣고 인증한 후에 여러가지 인적사항 등을 기입하여 Account 생성을 완료한다. 최초로 가입할 때 인증된 사용자를 루트(root) 사용자라고 하며 이 사용자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고 이를 제한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Account를 만들때만 사용하고 특별.. 2025. 4. 2. Google Cloud 공인강사 취득하기 2023년에 취득했으니 시간은 좀 흘렀지만 몇 년동안 변경되지 않았던 절차이니 아직도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어 GCP 공인강사 취득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절차나 팁 등을 간단히 공유해볼까 한다. 첫째, 신청 방법과 절차 우선 구글클라우드 Training Partner로 인증된 곳에 소속이 되어있어야 한다. 우리 회사는 Training Partner였기 때문에 Training 부서를 통해 공인강사 취득 신청을 할 수 있었다. 신청을 할 때 필요한 것은 PCA 자격증, 영문이력서가 필요하다. 커버레터나 세부 경력기술서는 필요없고 간단한 이력만 적혀있으면 되는데 강의 경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걸로 알고 있다. 그 외에 테스트 볼 트랙의 종류, 이메일 주소, 회사명, 거주하는 나라 등 신상내역을 적어 제출하면.. 2025. 3. 27.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