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6 Dynamic Routing이란? Dynamic Routing이란? Dynamic Routing 은 네트워크 정보를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학습하고 유지하는 방식을 말한다.라우팅 프로토콜은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다양하며, 각 프로토콜의 동작 과정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관리하고 있는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을 선택해주어야 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동작되고 있는 장비의 정보를 동적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발생된 변화를 감지하면 변화된 내용을 학습하고 새로운 최적경로를 선정한다. 하지만 이런 동적인 프로세스 때문에 장비의 리소스 소모가 Static 방식에 비해 많다는 점이 단점이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AS내에서 사용하는 IGP와 AS사이에서 사용하는 EGP로 나눌 수 있고, IGP Routing Prot.. 2014. 5. 28. Static Routing이란? Static Routing (스태틱 라우팅) 이란?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자신의 Routing Table (라우팅 테이블) 에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로, 목적지 정보를 관리자가 명령어를 이용하여 직접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Static Routing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별다른 트래픽을 발생시키지 않아 장비의 부하를 낮출 수 있으며, 관리자가 원하는대로 네트워크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경로를 관리하는데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고정적으로 입력된 값 외에는 알지 못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최적경로가 Down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관리자가 빠르게 경로를 설정해주지 않으면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백업 경로를.. 2014. 5. 28. Routing이란? Routing 개요 데이터가 전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네트워크들을 통과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여러 네트워크들의 연결을 담당하고 있는 라우터 장비가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디인지 확인하여 빠르고 정확한 길을 찾아 전달해주는 것을 Routing(라우팅)이라고 한다. 라우팅을 너무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우리가 처음 가보는 장소를 찾아가기 위해 하는 모든 행동들을 라우터가 패킷을 전달하는 라우팅 과정에 비교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생긴 맛집을 찾아가려고 한다는 가정을 해본다. 우리가 가장 먼저하는 것은 아마 그 곳이 어느 동네에 있는지 주소는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일일것이다. 그런 뒤에 목적지인 맛집이 있는 동네로 가기 위해 가장 편하고 빠른 교통수단과 경로는 어디인지를 생각할 것.. 2014. 5. 27. [Config] VLAN 설정 Switch에 VLAN 만들기 + Global Configuration Mode에서 설정 (config)# vlan 10 (config-vlan)# name ** vlan 모드에 여러가지 설정을 할 수 있다 + VLAN Database에서 설정 # vlan database (vlan)# vlan 10 name ** 이 모드에서 설정하는 방식은 추천하지 않는다 Switch port 설정하기 + Access port 설정 (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1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 스위치 포트의 모드를 access로 변경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 access에 특정 vlan을 할당 해줌 + T.. 2014. 3. 4. [Config] Switch 장비 기본 설정 Cisco Switch 기본설정 + 장비이름설정 : hostname + enable 비밀번호 설정 : enable password enable secret + 도메인 찾지않게 설정 : no ip domain-lookup + 도메인 찾도록 설정 : ip domain-lookup + local 계정 만들기 : username password 콘솔 설정 + 콘솔모드 들어가기 : line console 0 + 로그랑 명령어 분리 : logging synchronous + 로그아웃 시간 설정 : exec-timeout -> 0 0 으로 설정하면 로그아웃 안되게 설정하겠다는 뜻 + 패스워드 설정 비밀번호 인증 password login -------------------- local 인증 login local --.. 2014. 2. 28. VTP (VLAN Trunking Protocol) VTP란? VLAN Trunking Protocol 의 약자로, 연결된 스위치들끼리 VLAN 정보를 주고 받아 자동으로 동기화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관리해야 되는 스위치가 많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VTP 사용 조건 스위치에 VTP는 기본적으로 동작이 되고 있는 상태이며 끌 수가 없는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초기에 아무 설정도 하지 않으면 VLAN정보를 동기화 하지 않는데, 이는 스위치간 도메인 이름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VTP를 사용하여 VLAN정보를 동기화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들의 VTP 도메인 이름을 같도록 설정해야 한다. VLAN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VTP메시지를 보내는데, 이 메시지는 Trunk에서만 전달될 수 있다. .. 2014. 2. 26.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