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g3 [Config] NAT NAT 설정 1. Static NAT 설정하기 Static NAT는 고정적으로 mapping될 사설IP와 공인IP를 직접 입력시키는 방식이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0.1.1.1 5.5.5.1 빨간색 글씨는 고정 명령어이고, 그 뒤에 사설IP와 공인IP를 순서대로 적는다. Router(config-if)# ip nat inside Router(config-if)# ip nat outside 사설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inside' 명령어를 입력하고, 공인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outside' 명령어를 입력한다. 2. Basic Dynamic NAT 설정하기 사설IP의 수가 여럿이면.. 2015. 5. 8. [Config] 설정모드 및 명령어 정리 설정모드 구분하기 > : 사용자 모드 (user mode) # : 관리자 모드 (privileged mode) (config)# : 전역설정 모드 (global configuration mode) (config-if)# : 인터페이스설정 모드 (interface configuration mode) (config-line)# : 관리포트설정 모드 (line configuration mode) (config-router)# : 라우팅프로토콜 설정모드 (router configuration mode) (config-subif)# : 서브인터페이스 설정모드 (subinterface configuration mode) 콘솔설정 (config)# line console 0 : 콘솔설정모드로 진입 (config-li.. 2014. 5. 28. [Config] Switch 장비 기본 설정 Cisco Switch 기본설정 + 장비이름설정 : hostname + enable 비밀번호 설정 : enable password enable secret + 도메인 찾지않게 설정 : no ip domain-lookup + 도메인 찾도록 설정 : ip domain-lookup + local 계정 만들기 : username password 콘솔 설정 + 콘솔모드 들어가기 : line console 0 + 로그랑 명령어 분리 : logging synchronous + 로그아웃 시간 설정 : exec-timeout -> 0 0 으로 설정하면 로그아웃 안되게 설정하겠다는 뜻 + 패스워드 설정 비밀번호 인증 password login -------------------- local 인증 login local --.. 2014. 2.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