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71 Kali Linux 환경설정 Kali Linux 시스템 설정 apt-get update백트랙과 다르게 Kali는 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버전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하지만, 간혹 업데이트가 되면서 기존에 있던 설정이 빠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 apt-get install open-vm-toolboxKali에서 VMtool을 설치하는 명령어이다.그동안 VMtool을 설치하느라 고생했다면 위 명령어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해보자. (Kali 2.0 부터는 지원되지 않는데, 그런 경우에는 수동으로 설정해주면 된다.) 화면설정과 같은 기타 여러 환경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 위 그림처럼 System setting으로 들어간다.배경화면 사진 변경, 화면꺼짐 설정, Lock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대로 변경해 주면 된다. Kal.. 2015. 7. 16. 물리적 보안 설정 물리적 보안 설정의 중요성보안이라고 하면 흔히 방화벽, IPS 등의 외부트래픽 필터링에 대해서만 생각하기 일수인데, 사실 물리적 보안을 염두해두지 않으면 논리적인 보안설정을 아무리 잘해두어도 소용이 없다. 장비가 설치된 시설(물리적인 위치)은 대부분의 경우 침입자에 의해 맞닥드려지는 첫 번째이나 마지막 장애물이다. 물리적 보안은 장비들에 대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리적인 접근을 하지 못하게 막는다. 물리적 보안은 네트워크 보안보다 더 중요하지만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자주 무시된다. 물리적 보안이 되어있지 않으면 모든 것을 내어주는 침해로 끝나게 되므로 인가자만 접근할 수 있는 물리적 보안시설을 갖고 있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 침해 순서장비의 물리적인 무결성(초기침해) → 장비의 정적인 코어설.. 2015. 7. 15. Kali Linux 1.1.0 설치하기 Kali Linux 배포판을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다운로드 VMware에 Kali Linux 설치 준비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하여 Custom으로 선택한다.뒤에 VMware 버전을 선택하는 화면에서는 그냥 Next. Install disk는 나중에 설정하도록 선택한 후 Next Kali Linux는 데비안 계열이므로 그림과 같이 선택한 후 Next 설치할 가상머신의 이름을 설정하는데 원하는 이름으로 쓰면 된다.위치(Location)는 D드라이브보다 C드라이브에 하는 것이 속도면에서 좋다. RAM의 용량은 1GB로 한다.빨간 박스안에 1024라고 적은 후 Next 그 뒤에 나오는 네트워크 설정은 NAT로 설정해두고,디스크 관련 설정은 추천되어 있는 대로 선택하여 설정하.. 2015. 7. 15. [Config] NAT NAT 설정 1. Static NAT 설정하기 Static NAT는 고정적으로 mapping될 사설IP와 공인IP를 직접 입력시키는 방식이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Router(config)#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0.1.1.1 5.5.5.1 빨간색 글씨는 고정 명령어이고, 그 뒤에 사설IP와 공인IP를 순서대로 적는다. Router(config-if)# ip nat inside Router(config-if)# ip nat outside 사설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inside' 명령어를 입력하고, 공인IP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에는 'ip nat outside' 명령어를 입력한다. 2. Basic Dynamic NAT 설정하기 사설IP의 수가 여럿이면.. 2015. 5. 8. [Config] Access-List Numbered Access-List 설정 Standard ACLUsage : access-list [1~99] { permit | deny } Source-IP [wildcard-mask] R1(config)# access-list 10 permit 1.1.1.1 0.0.0.0 (또는 access-list 10 permit host 1.1.1.1)R1(config)# access-list 10 deny 1.1.1.0 0.0.0.255R1(config)# access-list 10 permit 0.0.0.0 255.255.255.255 (또는 access-list 10 permit any) R1(config)# interface fa0/0R1(config-if)# ip access-group [numbe.. 2015. 5. 8.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의 개요 NAT는 주소변환기술 이라는 말로, 말 그대로 통신 주소인 3계층의 주소를 다른 주소로 바꾸어주는 기술이다. 우리가 가정에서 공유기를 이용하여 가족 모두가 하나의 공인IP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NAT 기술 덕분이다. NAT가 만들어져 사용된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IPv4가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 빠른 속도로 주소가 고갈되어 갔다. 이러한 문제로 IPv6가 개발되고 있었지만 그 보다 먼저 IPv4 주소가 고갈될 수 있어서 이를 막기 위해 만들어진 기술이 바로 NAT이다. 실제로 NAT기술로 인해 IPv6가 모두 개발 된 이후에도 바로 상용화 하지 않고 그대로 계속 IPv4를 사용하게 되었다.. 2015. 3. 5.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