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버전인 프리티어를 사용한다고 해도 무료사용량을 넘기거나 실수로 프리티어가 아닌 다른 서비스를 실행하는 바람에 예기치않게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빌링 예산을 설정하려고 한다.
청구서 살펴보기
청구서(Bill) 메뉴로 가면 현재 비용이 어디서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프리티어(Free Tier) 메뉴로 가면 사용 중인 서비스들의 프리티어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예산 설정하기
예산 메뉴로 이동하여 [예산 생성] 버튼을 눌러 예산설정으로 들어간다.
예산 설정에서 제공되는 여러 옵션들을 살펴보자.
간단하게는 템플릿을 사용해 구성할 수 있고, 좀 더 세분화된 파라미터를 지정해 설정하고자 하면 사용자 지정으로 선택하면 된다. 다음 이어지는 옵션들은 템플릿 사용 시 작성하는 부분이다.
- 제로 지출 예산
- 예산 초과 알림
- 프리티어를 한도를 초과할 경우 알려주는 예산 옵션이며, 비용이 발생하는 즉시 관리자에게 이메일로 알림을 보내준다. - 월별 비용 예산
- 예산 초과 알림
- 월간 예산을 설정하여 예산의 85%, 100%에 도달 또는 100% 도달이 예상되는 경우 알림을 받게 된다. - 일별 절감형 플랜 담당률 예산
- 예산 미달 알림
- 정의된 목표 이하로 떨어지면 알림을 받는 방식으로 온디맨드 지출을 더 빨리 파악하여 새 약정 구매를 고려할 수 있다. - 일별 예약 사용률 예산
- 예산 미달 알림
- 예약 인스턴스의 사용률 예산으로 이미 구매한 시간당 약정 중 일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다.
프리티어 사용 한도를 초과할 경우 알림을 받기 위해 [제로 지출 예산]을 선택한 후 하단에 알림 받을 이메일을 적고 생성을 완료한다. 생성된 예산의 상세 페이지를 들어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최종 확인한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기초 2] IAM 개요 및 설정하기 (0) | 2025.04.11 |
---|---|
[AWS 기초 1] AWS 시작하기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