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AWS

[AWS 기초 4] EC2: 서버 구성 시 확인할 조건들

SH.S 2025. 6. 22. 10:41

EC2 인스턴스 타입, 어떻게 골라야 할까?

EC2 인스턴스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뉩니다. 컴퓨팅 또는 메모리에 최적화 되어 있거나,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로 구분된 인스턴스 유형들이 있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유형을 선택하면 좋을지 간단히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무료 서버가 필요할 땐,
    t2.micro를 선택합니다. 처음 AWS 가입 후 12개월간 매월 750시간 무료 사용량을 제공합니다. (12개월 지나면 돈이 나가요~)
  •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할 서버가 필요할 땐,
    메모리 최적화 인스턴스(예: R8g)를 선택합니다. CPU/Memory 중 메모리 비율이 더 높고 성능 좋은 메모리를 사용합니다. 
  • AI/ML 작업에 사용할 땐,
    가속 컴퓨팅 인스턴스(예: P6)를 선택합니다. GPU가 추가되어 더 강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메모리 최적화, 스토리지 최적화 등의 인스턴스 유형이 제공되며, 각 인스턴스 유형별 스펙의 상세한 정보는 https://aws.amazon.com/ko/ec2/instance-types/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 인스턴스 유형은 한번 결정하면 변경할 수 없을까요?

아닙니다, 변경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다보니 워크로드와 맞지 않는 스펙을 결정했을 수도 있고 CPU나 메모리의 수량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수정은 가능합니다. 다만 인스턴스 유형 변경은 인스턴스를 중지가 필요하므로 초기에 인스턴스 선택을 잘 해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스토리지는 어떤걸 붙여야 할까?

기본적으로 EBS(Elastic Block Store)를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EBS는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다고 생각하면 되며 HDD와 SSD 타입이 있습니다. 가격이 저렴한 스토리지를 원한다면 HDD 유형의 볼륨을 선택하고, 높은 성능을 원하면 SSD 유형의 볼륨을 선택하면 좋습니다. 

 

SSD의 경우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io1, io2 볼륨과 범용 SSD로 gp2, gp3 볼륨 타입이 있습니다.

SSD 볼륨은 부팅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고, io1, io2의 경우에는 여러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Multi-attach 기능도 지원합니다. 

 

HDD 볼륨은 부팅디스크로 사용할 수 없고 IOPS도 SSD에 비해 낮은 편이므로 추가 디스크로 용량을 확장하거나 저비용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적합합니다. 

 

 

Elastic(탄력적) IP를 붙이면 바로 접속 가능할까?

Elastic IP는 고정 공인 IP를 말합니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랜덤한 공인 IP가 할당되는데 이 주소는 인스턴스가 재부팅 되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고정된 주소가 필요할 경우 Elastic IP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IP를 붙인다고 해서 외부에서 바로 접속이 가능한 것은 아닌데요, 통신이 된다는 것은 상호간에 접속 가능한 주소가 있어야 하고 그 주소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경로 설정(routing)이 되어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통신이 허용되는 규칙이 방화벽에 있어야 하죠. 

인스턴스 이름을 누르고 상세페이지로 들어가서 [보안]탭으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떤 보안 그룹에 적용되어 있는지와 어떤 프로토콜과 소스 주소로부터의 통신이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 여기에 원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소스 주소가 없다면 보안그룹으로 들어가 추가 해주시면 됩니다. 

 

 

인스턴스를 껐는데 요금이 계속 나와요! 왜죠?

EC2 인스턴스를 중지(stop)하면 컴퓨팅 요금 과금은 중단되지만 볼륨과 같은 부가 리소스는 계속 과금돼요. EBS 볼륨은 따로 삭제하지 않으면 저장공간에 대한 요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Elastic IP를 생성했다면 삭제되지 않는 한 이에 대한 비용 또한 계속 청구됩니다. 

 

만약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인스턴스라면 중지(stop)가 아닌 종료(terminate)를 하여 리소스를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 때, 인스턴스에 부팅디스크 외 추가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함께 삭제되도록 설정되어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값으로는 함께 삭제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되어있으니 모든 리소스를 정리하려고 할 경우에는 설정 확인 후 수정이 필요합니다.